 |
주로 한국사람들의 도검의 기준은 베기를 할때 휘지도 않고 날이 나가지 않은 칼을 선호하고 있읍니다. 이런칼이 존재한다면 한마디로 명검입니다.우리의 기준을 놓고볼때 세계 어느나라의 도검도 우리의 기준을 만족 시키는 칼이 없읍니다.
세계 최고라는 일본도도 무리하게 베기를 시도하면 대부분의 칼이휘어진다는건 웬만한 검도인들은 다 알고 있읍니다. 일본사람들은 이러한 사실을 별로 부담없이 받아들입니다.
일본장인들은 휼륭한 도검은 만들수는 있어도 명검은 만들지 못합니다. 왜그럴까요? 그이유중 하나가 기술을 정식으로 배우지 못하고 훔쳐오거나 강탈한기술로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어느나라이던 옛날이나 지금이나 무기제조 기술은 국가 최고기밀이기 때문에 기술 반출이 금지돼 있읍니다. 그래서 일본은 우리나라로부터 정식으로 배우지 못하고 결국 위와 같은 방법으로 기술을 습득하였읍니다. 제대로 배우지 못한거죠.
일본이 명검을 만들수 없는 또한가지 이유는 물결모양(하몬)에 있읍니다. 진흙을 칼등에 바르고 물에 담금질을 하면 진흙을 바른 부분이 덜 강해집니다. 진흙을 바른 부분과 안바른 분분사이에 경도 차이로 선이 생기는데 이것을 물결모양(하몬)이라고 합니다.
일본에서는 물결모양이 없는 도검은 일본도로 안정하지 않읍니다. 멋있
고 뚜렷한 물결모양을 만들려면 칼날과 칼등의 경도차이가 커야만 되는데 이것을 너무 강조하다보니 칼등의 경도가 너무 낮아져 베기할때 휘어지는 현상이 생깁니다. 명검이라고 할수 없겠죠.
그렇다면 우리의 도검제작전승이 완전히 끊켰는데 우리나라사람들의 도검 기준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그이유는 우리의 조상들이 이러한 명검들을 흔하게 만든것들이 전승이 끊켜도 구전을 통해서 지금까지 내려왔기 때문입니다. 일본인들이 칼이 휘어지는것에 대해 당연시 여기는 것은 그들의 조상때부터 보아온 칼들이 다 그렇기 때문입니다.
5세기 전부터 벌써 탄소강의 탄소량을 마음대로 조절하고 7세기때 19톤 무게의 에밀래종을 들고 있는 9센티 두께의 쇠막대기를 만든기술을 볼때 우리조상들은 이미 일본도에서 나타나는 휘어지는 문제점을 해결 하지 안했나 추측이 됩니다.
명검이란 칼을 90도 정도 굽혀도 부러지지 않고 거진 원상태로 돌아와야 되고 어떤 두께의 대나무나 나무를 베어도 날이 나가지 않아야 됩니다. 물론 다른 칼날에 부딛혔을때 날이 깨지지 않는다면 그것은 아마 세계 최고의 명검일것입니다.
과학적으로 밝혀진 가장 이상적인 도검은 칼날이 RHC60, 칼등이RHC49(스프링 경도)인데 일본식 제작방법으로는 거진 불가능합니다. 물결모양을 강조하다보면 칼등의 경도를 RHC49로 마추기가 힘들어 일본의 최고 도검장인들도 이러한 도검을 평생에 하나 만들까하는 고난도의 기술입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옛 도검장인들은 어떻게 만들었을까요? 정말 황당한 질문입니다. 전통도검제작전승이 완전히 끊키고 어떠한 문헌도 남아 있지 않은데 단지 구전이라는 그것도 추측으로 휘어지지 않고 날이 나가지 않는 칼을 만든다는것은 거진 불가능했읍니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구전을 통해서 과거가 밝혀진 예들이 많은것을 감안 할때 꼭 불가능은 아니라고 생각했읍니다.
우선 첫번째로 우리가 도검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 사고방식은 분명히 우리조상들도 똑같이 생각했을 거라고 추측했읍니다. 왜냐하면 우리 조상들이 이렇게 생각하고 만들고 구전으로 내려오지 안했다면 결코 현재 우리도 이러한 사고방식을 가지지 안했을 것입니다.
두번째는 일본 도검제작 기술은 역사적이나 지리적 그리고 문화적으로 보아서 우리나라의 옛도검제작의 변형된 기술 즉 불완전한 기술이 아니었을까 즉 우리나라의 진흙을 이용해 도자기 만드는 기술이 훨씬 일본을 앞서간 예로 보아서 진흙을 사용해서 도검의 경도 차이를 만드는 기술은 우리의 것이 아니었을까 추측했읍니다.
세번째는 5세기때 우리조상이 사용한 제철기술은 그때나 현재나 별로 차이가 없어서 세계가 놀란적이 있읍니다. 또 한예로 최무선이 만들어낸 화약제조 방법은 오늘날 화약제조방법과 거의 일치한다고 합니다. 굉장히 과학적입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우수한기술을 갖고있던 우리조상들이 그당시에 가장 중요한 무기였던 도검의 열처리방법을 모를리 없다고 생각했릅니다. 오히려 열처리방법을 과학적으로 완성시키지 안했을까하는 의구심이 생깁니다. 그러길래 베기하다 도검이 휘어지는 것에 대해 일본인들은 당연하게 생각하는것에 비해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해하지 못하는것이 이런이유에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2년동안 한국도를 만들기위해 한국도에 가까운 일본도를 제작했읍니다. 수많은 시행착오를 통해서 일본도를 제작할때마다 느끼는것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원한는 도검을 만들수 없다는 것 |